top of page

접근성 부엌

최근의 부엌 트렌드는 가정생활과 주거공간의 중심적인 기능을 하고 있으며, 디자인은 이러한 다기능 공간에서 수행되는 모든 활동을 통합하도록 진화하고 있습니다.

가정생활의 중심인 접근성 부엌개조의 목표는 거동이 불편하거나 휠체어 사용자에게 독립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다른 사용자에게도 적합한 주방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습니다. 포괄적 인 접근성 부엌은 사용자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일상적인 활동에 동등하게 독립적으 로 참여할 수 있도록 최적의 접근 포인트를 설정하여 상호 관련된 작업이 용이 하도록 모든 사용자에게 적합한 부엌 환경을 만드는 것입니다.

포괄적인 디자인은 현재의 트렌드와 스타일을 반영해야 하며, 최근의 인테리어 패션의 제품과 기술, 주방 가구 및 액세서리는 고객의 요구에 맞게 조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주방 디자이너 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접근성 설계의 인체 공학을 이해하고, 휠체어 사용이 편안하고 실용적 인지 확인하기 위해 설계 데이터에 대한 지식을 갖추는 것입니다.

오늘날 국내에는 3백 50만명 이상의 장애인과 150만명 이상의 휠체어 사용자가 있지만, 가정 과 특히 부엌에서 장애인들의 요구 사항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한 현실입니다. 주거공간 에서의 자유로운 이동은 일상생활에서 독립심을 느끼게 하는 기초입니다. 뛰어난 접근성과 사 용성에 심미적인 디자인은 사용자에게 요리의 즐거움과 음식의 관심사를 추구하게 할 것이며, 다른 사람과의 상호 작용에 자신을 개방하는 자극제가 될 수 있습니다.

접근성 부엌을 설계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일반적으로 장애 유무를 떠나 부엌설계에 가장 에 많아 적용되는 가구 레이아웃은 작업 삼각 형 원리입니다. 이 원리는 주방설비의 3대요소인 조리공간(스토브), 작업공간 (개수대), 저장공 간 (냉장고)을 중심으로 주방작업의 구성을 최적화 하는 것으로, 1940년대 미국 일리노이 대 학에서 진행된 인체공학 분야의 연구 결과물입니다. 오늘날 개방형 부엌 트렌드와 전자제품의 다양화와 대형화로 작업 삼각형이 확장되는 추세이지만 적절한 균형을 제공하는 레이아웃은, 특히 이동이 자유롭지 못한 보행 장애인들에게 상호간의 작업 영역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의 필요성을 제한하여 최적의 접근 포인트에서 작업 범위를 최대화 할 수 있게 합니다.

부엌가구의 배치에는 일렬, 복렬, L형, U형, 이일랜드, 세미아일랜드의 6개유형이 있습니다. 부엌 작업면(상판)의 기본적 특징은 식사 준비 과정의 연속성을 유지하는데 있으며, 안전상의 이유및 사용자의 편의성에 있어서도 중요합니다. 신체적 능력이 제한된 사람은 무거운 물건이나 뜨거운 용가를 들고 움직일 필요가 없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물건을 옮기기에 편리하 므로 작업면의 연속성을 유지하기에는 U자형이나 L자형 주방계획이 적합합니다.

편중화, 즉 인체의 좌우기능 비대칭은 뇌반구의 구조와 기능의 차이에서 비롯되며, 능력의 수준과 운동 능력의 수준은 손의 다양한 기능, 전문화, 운동 조정과 관련이 있다. 선두손(우완자의 경우 오른쪽, 좌완 자의 경우 왼쪽)이 주 활동을 수행하고, 부하손은 이를 지원한다.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는 사람의 경우, 부하손이 휠체어를 운전하고(또는 전동 휠체어의 경우 구동장치를 작동) 선두손이 서랍을 열거나 물건을 수납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주방의 기능 구역을 설계 할 때 편중화는 작업 순서를 휠체어 사용자가 선호 하는 이동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왼손으로 휠체어를 운전하는 사람은 오른쪽으로 이동하기 쉽고 오른손으로 휠체어를 운전하는 사람은 왼쪽으로 이동하기가 더 쉽다.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을 위해 부엌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는 사용자 최적의 접근 지점을 기능적으로 상호 관련되는 가전제품과 가능한 많 은 저장 공간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1.카운트 탑 (부엌상판)​

  • 정상인의 상판의 높이는 비닥으로부터 880-900mm 이며, 휠 체어 접근성 상판은 720mm-800mm가 적당하지만, 부엌 사용자의 최적의 접근 포인트에 맞추어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접근성 상판에는 식재료를 손질 할 수 있도록 가로 760mm, 폭(depth) 600mm 이상의 작업 대가 필요하며. 개수대와 냉장고 사이가 적당하다.

  • 부엌 상판의 작업대 하부 공간은 휠체어 무릎공간과 발끝 유효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2. 개수대

  • 음식물을 준비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음식물 처리함과 식기세척기는 개수대에서 300mm 이 내에 설치한다.

  • 개수대는 가능한 앝은 제품일수록 휠체어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다.

  • 지팡이나 클러치 사용자를 위해 싱크대 주변에 의자를 비치하면 유용하다.

  • 급수 및 배수관은 휠체어 접근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최대한 안쪽에 설치하고 파손되지 않도 록 잘 보호한다.

  • 개수대 하부 공간은 휠체어 무릎공간과 발 유효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3. 쿡 탑

  • 쿡 탑과 개수대는 가능한 같은 벽에 설치하여 무거운 용기를 들고나를 필요가 없도록 조리 과정의 작업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쿡탑 주변에 급수 수전을 설치하며 매우 편리 하다.

  • 뜨거운 용기를 놓을 수 있는 쿡 탑 양사이드는 최소 300mm 클리어 공간이 필요하다.

  • 쿡탑 하부공간은 휠체어 유효공간과 무릎, 발끝 공간이 필요하다.

  • 쿡 탑 하부는 불연소재로 열전도율이 약한 소재로 마감하여 륄체어 무릎을 보호할 수있도 록 한다.

4. 부엌가구

  • 상부장이나 선반은 휠체어 정면 접근보다 측면접근이 도달 범위가 넓고 접근에 용이하므로 측면접근에 필요한 유효공간을 확보한다.

  • 최적의 접근포인트를 설정하여 가능한 한곳에서 효율적인 수납공간이 되도록 서랍형 하부장 을 충분히 설치하며. 무거운 용기와 자주 사용하는 아이템은 쉽게 닿을 수 있는 곳에 수납하 도록 한다.

  • 휠체어사용자가 도달할 수 있는 상지 범위는 바닥으로부터 최저 30mm 에서 최고 1400mm 이지만, 최적의 도달 거리는 50mm 에서 1100mm 사이(일반적으로 눈높이 기준)가 적당하다.

5. 가전제품

  • 냉장고는 휠체어 측면이나 정면 접근이 가능하여야 하며, 냉장고 온도 조절기는 바닥으로부 터 380mm 에서 1200mm 이내에 위치한다.

  • 냉장고 옆에 바퀴달린 카운트 테이블이 있으면, 무거운 아이템을 작업공간으로 핸들링 하기 편리하다.

  • 냉장고 하단에 서랍형 냉동고는, 특히 휠체어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다.

  • 전자렌지 정면의 풀 아웃선반(사진)은 뜨거운 용기취급에 많은 도움이 되며, 위치는 상판높이 와 같을수록 사용하기 안전하다.

  • 세탁기는 휠체어 측면접근이 가능한 위치에 프론트 로드형이 접근에 용이하다.

6. 조명(lighting) & 칼라

  • 적절한 조명은 효과적인 색상 대비에 도움이 된다.

  • 가구 및 바닥, 벽 색상은 인공조명보다 직사광선에서 훨씬 더 밝게 보이므로 낮과 저녁에 테스트를 한 후 결정한다.

  • 밝은 색상의 바닥 벽 천정 및 카운터 탑은 모든 영역을 밝게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 노인은 보통 정상인보다 3배 이상의 조명의양이 필요하며 색상대비가 요구된다. 주로 카운트 탑의 가장자리, 카운트 탑과 접한 벽면, 조명 스위치와 전원 콘센트, >세밀한 작업이 요하는 곳이나, 조리공간의 작업조명 (Task Lighting) 설치한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