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접근성 욕실

기본적인 접근성 구성요소가 없는 욕실 환경은 기능적 한계가 있는 사람의 일상 활동에 부정 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동보조기구(휠체어, 워커, 클러치)에 의존하는 장 애인이 자유로운 이동에 제약이 있다면 자율성 상실과 기능적 쇠퇴로 이어져 결국 개인의 위 생 활동마저 타인의 도움을 필요하게 될 것입니다.

접근 가능한 욕실 개조의 목표는 안전 및 독립적 기능을 개선하고 캐어 서비스의 필요성을 방지하거나 지연시키기 위해 어려움을 야기하는 장애물을 제거하여 독립적으로 목욕할 수 있 는 능력을 회복시키고, 보호자의 목욕지원의 부담을 줄이며 부상을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낙상 예방은 노인들을 위한 욕실 개조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입니다. 국내 65세 이상 노인 중 25%가 낙상사고를 경험하고 있으며, 연간 12만명이 뇌손상, 골절등 심각한 부상을 당하며 이중 25%가 1년 안에 사망을 초례하는 낙상사고는 노인 사고사망 원인 중 교통사고에 이어 두번째로 많이 발생합니다. 특히 주거내에서 발생하는 낙상의 60%이상이 욕실에서 발생하므 로 시력과 균형 감각 및 운동 신경이 쇠퇴한 노인들에게 욕실 환경은 노후에 독립적인 생활을 위협하는 기장 큰 원인이 아닐 수 없습니다.

낙상을 줄이고 관리하기 위한 노력은 수십 년 동안 노화에 대한 연구의 초점이 되어 오고 있 습니다. 환경 평가는 물리적 환경의 특성을 평가하고 노인과 그 주변 환경 사이의 동적 상호 작용을 탐구하여 주거의 위험영역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프로세스로서, 낙상을 예방하는 데 있어 가장 효과적인 개입입니다. 홈 모드에서는 개조에 앞서 가정을 먼저 방문하여 위험 지역에 대한 문제를 식별하고 해결책을 제공하기 위한 환경평가를 실시합니다.

접근성 욕실의 구성요소

“환경의 배치와 디자인은 기능적이고 실용적이어야 하며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 들에게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명확하여야 한다.”

접근성 욕실이란, 신체 장애인 특히 이동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장애인들의 신체적 한계를 보 완하여 가능한 자립으로 위생활동이 가능한 욕실(화장실)로서, 기본적으로 휠체어 출입이 가능 하여야 하며, 휠체어에서 위생도기로 인전한 트랜스프를 지원하기 위해 적절한 위치에 안전바 가 설치된 욕실 및 화장실을 의미합니다.

트랜스퍼(이송)는 휠체어 사용자가 휠체어에서 의자,침대,욕조 및 변기로 수평이동에 사용되는 일반적인기술입니다. 대부분의 휠체어사용자는 하루에 적어도 10시간이상 휠체어를 사용하는가 하며, 8번 이상의 트랜스퍼를 하므로 휠체어 의자 높이와 다른 표면의 높이는 같을수록 트렌스퍼에 용이하여 팔목과 어깨 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수 있습니다. 욕실은 복잡한 설비 구조로 인해 주거내에서 개조가 가장 까다로운 장소이며, 한정된 공간으 로 휠체어 이동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욕실은 단지 인치만의 차이로도 독 립과 의존이 결정될 수 있으므로 접근성 욕실 설계는 설치기준 이상의 세심한 배려가 필요합니다.

다음의 내용은 미국의 접근성 주택 개조에 지침이 되는 ADA를 기초로 작성되었습니다. ADA 는 1973년 재활법 504조를 모델로 1990년 조지 H.W 부시 대통령에 의해 재정 되었으며, 91년 American with Disablity Act Accessibility Gudeline(미국 장애인법 접근성 지침, 이하 ADAAG)으로 출판되었습니다. 이후 이 지침서는 캐나다, 영국, 호주등의 접근성 지침에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롤 인 샤워 (Roll in Shower)

휠체어 사용자가 자립으로 접근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욕실의 샤워실입니다. 일반적인 워커 인 샤워와 다른 점은 샤워실 입구에 배수 설비를 통하여 물이 욕실 바닥으로 흘러 나가지 않도록 설계된 구조입니다. 평소 샤워를 위해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장애인들에게 자립으로 휠체어 에서 샤워의자로 트랜스퍼가 가능하도록 살계 되었으며, 거동이 불편한 고령 노약자들에게는 방수 휠체어에 앉은채로 샤워가 가능하므로 샤워중에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게 하며, 보호자들 에게는 목욕캐어의 부담과 부상을 줄이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롤 인 샤워는 기본적으로 샤워실에서 휠체어 360도 회전공간이 필요하므로, 욕조가 설치되어 있는 주택의 욕실이라면 대부분 설치가 가능합니다. 샤워실의 구조는 가로벽(back wall)과 양 옆의 사이드 벽으로 구성되며, 안전바는 수평으로 가로벽과 양사이드중 한벽에만 설치하며, 안전바 높이는 휠체어에서 트랜스퍼하기 편한 위치에 살치합니다. 샤워의자는 고정용 접이식 이나 이동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양사이드중 트스퍼에 편리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트랜스퍼 욕조 (Transfer Bath)

욕실 개조에 있어서 여러 가지 다양한 이유로 샤워보다 욕조를 선호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을 것 같습니다. 목욕(Bathing)은 기분전환과 건강증진 그리고 통증완화에 도움이 되지만, 휠체어 사용자와 고령 노약자들에게는 가족이나 간병인의 도움 없이는 어려운 활동입니다. 트랜스퍼 욕조는 트랜스퍼 의자를 통해 자립 내지 적은 도움으로 안전한 트랜스퍼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욕실의 욕조입니다. 이 욕조의 장점은 기존욕조에 이동식 욕조전용 트랜스퍼 의자와 벽체에 안전바 설치만으로도 욕조의 접근성과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므로 짧은 시간에 적은 비용으로 매우 효과적인 욕실 개조입니다. 간혹 욕조 전방에 공간이 협소하여 트랜스퍼 의자 설치가 불 가능할 경우, 대안으로 욕조의 안쪽벽(Back wall)에 접이용 고정식 의자 혹은 욕조 보드를 설치 할 수 있으며, 의자와 보드 높이는 휠체어 의자 높이와 같을수록 트랜스퍼가 용이 합니 다.

욕실에서 발생하는 낙상 사고의 가장 큰 원인중 하나는 욕조를 넘나들면서 욕조에서 미끄러짐 으로 발생합니다. 안전바는 특히 미끄러운 욕조에서 균형을 지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므로 트랜스퍼하기 편한 위치에 수평 안전바를 설치하고, 간혹 사용자가 샤워중 기립 할 경우 적절 한 위치에 수직 안전바를 설치합니다. 욕조수전은 샤워의자에서도 조작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 고, 미끄럼방지 매트는 욕조에서 샤워하는데 중요한 욕실 안전용품중 하나입니다.

안전 바 (Grab Bar)

안전바는 균형감각 장애, 조정력 저하, 운동범위 제한, 근력 저하 등 노화와 관련된 기능적 한 계를 보완할 수 있어 노인들에게 안전하고 독립적인 목욕환경을 제공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 을 합니다. 최근 캐나다에서 노인 550명을 대상으로 한 표본조사에서 욕실낙상 사고의 55%는 목욕중에서 발생하였으며, 그중 70%가 트랜스퍼 과정에서 발생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조사 대상자중 1/3은 욕조를 넘나들거나 욕조에서 일어나는 동작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고 합니다.

안전바는 이동시 또는 미끄러지거나 넘어질 위험이 높은 곳에서 보조 수단으로 균형과 지지를 보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화장실이나 욕조를 넘나들기 하면서 이동을 보조하고, 샤워실에서 는 안정성과 지지를 제공하거나, 한 단계 위아래로 움직이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설치합니 다. 안전바를 선택하고 설치 할때는, 설치될 환경, 의도된 용도, 사용자의 개별 기능적 수용능력과 요구도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전바는 수직, 수평, 45도 그리고 15도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업용 건물에서는 설치 매뉴얼 에 따라야 하지만, 개인 주택에서는 사용자의 편리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수 직바는 균형 유지가 수평 바 보다 유리하므로 단차가 발생되는 곳이나, 앉거나 기립하는 장소 에 주로 설치하며, 관절염 환자에게 적합합니다. 수령 바는 휠체어, 목발 사용자의 수평 이동 과 트랜스퍼 보조를 위해 주로 설치되며, 관절염 환자들에게는 오히려 손목에 부딤이 가중될 수 있으므로 설치 전에 의료 전문가와 상담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대각선 바는 기립하면서 자 연스러운 이동과 균형을 유지 할 수 있으므로 욕조나 샤워실 그리고 변기 주변에 많이 사용되 지만, 샤워중에는 미끄러질 우려가 높으므로 미끄럼방지 처리된 안전바를 사용합니다.

화장실

화장실 사용은 일부 사람들에게 어렵고 심지어 잠재적인 낙상사고를 내포하고 있으나, 독립적 인 생활을 영위하는데 공통적이고 필수적인 중요한 활동입니다. 노화와 관련된 허약, 인지 장 애 및 약한 운동 조정은 변기에 앉거나 일어나는 동작을 힘들게 하며, 잠재적으로 낙상을 유 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장실의 안전바는 신체능력 감소를 보완하며 이동의 독립성을 유 지하는데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한다고 봅니다.

접근성 화장실 개조에 있어서 변기의 위치와 특징은 사용자의 접근성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 다, 변기의 측면이 벽과 나란히 설치 될 경우, 변기의 중심은 벽으로부터 최소한 400mm(어깨 유효공간)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며, 변기가 욕조와 세면대 사이에 위치하고 휠체어 전방 접근 이 어려운 욕실은 기존 욕조를 롤 인 샤워로 대체 하면서 대각선 접근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 할 수 있습니다.

개인의 다양한 욕실 환경과 신체의 능력에 따라 변기의 접근 방식도 다양하겠지만, 측면접근 과 대각선 접근은 미국의 ADA에서 권장하는 변기 접근법입니다. 욕실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국내의 욕실환경에 적용하기에는 대부분 공간적인 한계로 어려움이 있겠지만, 신축이나 휠체 어 회전공간이 확보되면 독립적인 화장실 사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봅니다.

변기의 높이가 개인의 필요와 요구에 맞는지 확인하는 것은 화장실에서 편안함과 안전을 보장 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높이가 맞지않는 변기를 사용하다 보면 몸에 문제를 일으켜 기존의 통증이나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변기의 높이는 매우 중요합니다. 허리, 무릎, 고관절 등의 문제로 굽힘이 어려운 사람들에게는 변기를 높여주고 적절한 안전바를 설치하면 변기 사 용이 훨신 수월할 수 있으며, 또한 휠체어 사용자들에게는 휠체어 의자높이와 변기높이가 같 을수록 트랜스퍼가 편리합니다. 변기의 높이는 앉았을 때 허벅지가 수평(무릎과 엉덩이가 같 은 높이)이고 발이 바닥에 평평하다면, 변기는 아마도 적당한 높이일 것입니다.

세면대

접근 가능한 세면대는 휠체어 사용자와 이동성에 제한이 있는 사용자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욕실의 세면대입니다. 기본적인 설치기준은 장애인 편의시설 기준에 따라 설치하도록 규정되어 있지만, 개인의 욕실구조의 다양성과 사용자의 안전과 접근성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요건 이상의 세심한 계획이 필요합니다.

세면대의 위치와 종류는 접근성과 사용성 그리고 개인의 위생관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휠체어 사용자들에게 있어서 세면대는 접근 한계로 인해 위생용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욕실에서 유일한 저장 공간으로 활용 할 수 있으므로 세련된 디자인의 가구 접목형 세면대를 고려해 볼 수도 있습니다.

세면대의 종류는 프리스탠딩, 벽채 고정식, 카운트 탑 베이슨 3가지로 분류되며, 이중 벽체 고 정식이 접근성과 좁은 욕실에서 공간효율성이 뛰어납니다. 카운트 형은 베이슨의 위치에 따라 언드 또는 탑으로 구분되며, 수납공간과 함께 다양한 디자인으로 휠체어가 접근할 수 있도록 빌트인으로 제작됩니다.

세면대의 위치가 측면벽체와 접할 경우 세면대 중심은 벽체로부터 최소 400mm 아상이어야 하며. 세면대 정면접근을 위헤서는 800mmx1300mm 휠체어 유효공간이 필요합니다. 최적의 세면대 접근을 위해서는 휠체어 무릎 유효공간(knee clearace)을 확보해야 하므로 바닥으로 부터 세면대 하단과의 간격은 보통 680mm-710mm 적당하며, 바닥으로부터 최소 230mm 의 발끝 유효공간(toe clearance)이 필요합니다. 세면대 볼은 깊이가 얕을수록, 벽체로부터 최소한 430mm이상 깊이(depth) 의 크기가 휠체어 접근과 사용하기 편리합니다.

세면대 주변에서 발생하는 사고 원인들 중 기징 흔한 사고는 세면대 가장자리와 수건걸이에 신체일부를 지지하다가 벽체에 고정부분이 탈락하면서 넘어지는 부상 위험이 높은 사고가 자 주 발생합니다. 세면대 주변의 안전바는 사용자의 신체적인 기능상태에 따라 설치 위치도 다 를수 있지만, 주로 세면대 가장자리와 거울 양사이드 중심으로부터 400mm 이내에 수직 안전 바를 설치합니다. 비닥 고정형 안전바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지자를 제 공 할 수 있지만, 좁은 욕실(화장실)에서는 휠체어 회전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제품선정에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bottom of page